WLFI(트럼프 코인) 흥망성쇠: 트럼프의 크립토 제국 연대기

WLFI(트럼프 코인) 흥망성쇠: 트럼프의 크립토 제국 연대기

  • 2025년 9월 3일 기준 분석 (Source)

2025년 크립토 시장에서 가장 뜨거운 논란을 만든 프로젝트 중 하나는 단연 World Liberty Financial(WLFI), 일명 ‘트럼프 코인’입니다.
“금융 자유(Financial Freedom)”를 표방하며 시작한 프로젝트였지만, 셀럽 마케팅, 프리세일 투자자 특혜, 대규모 락업 구조, 토크노믹스 불투명성, 규제 리스크까지 겹치며 드라마 같은 서사를 만들고 있습니다.


1. 트럼프의 크립토 제국 탄생

WLFI 프로젝트는 2024년 등장, ‘미국적 가치를 디지털 금융에 담겠다’는 비전을 내세웠습니다.
다른 크립토 프로젝트와 달리 트럼프 일가의 영향력이 크게 작용해 초반부터 시장의 주목을 받았습니다.

프로젝트 핵심 인물

  • Zach Witkoff — WLFI CEO
  • Chase Herro, Zach Folkman — 크립토 베테랑 공동창업자
  • 트럼프 일가 — Donald Trump Jr., Eric Trump, Barron Trump까지 공동 창립자 또는 Web3 홍보대사로 참여

트럼프 패밀리의 적극적 개입으로 WLFI는 단순한 크립토 프로젝트를 넘어 정치·셀럽 브랜드의 결합체라는 상징성을 갖게 되었습니다.


2. 듀얼 토큰 전략: USD1 & WLFI

WLFI의 구조는 두 개의 핵심 토큰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USD1: 미국 달러 및 머니마켓펀드로 100% 담보된 스테이블코인
  • WLFI: 프로토콜 거버넌스 토큰 (초기에는 양도 불가, 투표 전용)

USD1의 안정성과 WLFI 거버넌스 구조를 결합해, 단순 밈코인이 아니라 “미국형 디파이 프로토콜”로 포지셔닝하려는 전략이었습니다.


3. 7차례 투자 라운드로 7억 1,500만 달러 확보

WLFI는 본격 상장 전부터 2024년 10월~2025년 6월까지 7차례 펀딩을 통해 총 7억 1,500만 달러를 조달했습니다.

라운드 일자 투자금 토큰 가격 비고
초기 세일 2024.10.15 $300M $0.015 펀더멘털 라운드
프라이빗 라운드 2024.11.26 $30M 전략 투자자 참여
시드 익스텐션 2025.01.27 $10M Tron Ventures 포함
퍼블릭 세일 2025.03.14 $250M $0.05 대규모 리테일 참여
DWF OTC 매입 2025.04.16 $25M OTC 유동성 파트너십
시리즈 A 2025.06.26 $100M 트레저리 확장 목적

주요 투자자: DWF Labs, Tron Ventures(저스틴 선), Web3Port, Aqua1, Oddiyana Ventures 등.
덕분에 프로젝트는 초기에 상당한 신뢰도를 확보했습니다.


4. 전환점: 거버넌스 투표와 락업 해제 결정

2025년 7월, WLFI는 거버넌스 투표에서 WLFI 토큰 양도 가능 여부와 프리세일 물량 20% 해제 안건을 상정했고, 무려 99% 찬성으로 통과되었습니다.

  • 2025년 8월 28일 → “Lockbox” 시스템 가동, 초기 투자자 토큰 이동 허용
  • 2025년 9월 1일 → WLFI 공식 거래 시작

이 결정이 이후 극심한 가격 변동을 촉발하는 트리거가 됩니다.


5. 2025년 9월 1일, WLFI 상장일의 드라마

대규모 거래소 상장

  • Binance: 현물 거래 지원
  • Coinbase: 실험적 상태로 상장
  • OKX, Bybit, Upbit까지 동시 합류
  • 무기한 선물 시장에서만 약 9억 5천만 달러 오픈 이자 형성

가격 변동 롤러코스터

  • 첫 거래: $0.30 돌파
  • 최고가: $0.46 기록
  • 당일 종가: $0.246 (-12%)
  • 시가총액 일시 70억 달러 돌파

트럼프 패밀리의 홍보전

  • Donald Trump Jr.:
    “이건 밈코인이 아니다. 진짜 생태계를 바꾸는 거버넌스 토큰이다.” (X)
  • Eric Trump:
    “미국 가치와 금융 혁신을 대표하는 역사적 순간이다.” (X)

6. SNS 여론 반전

초기 분위기: 폭발적 긍정

  • 저스틴 선:
    “크립토 역사상 가장 중요한 프로젝트 중 하나가 될 것”
  • 애국 마케팅에 힘입어 “미국발 혁신”으로 주목

이후 반전: 의혹 폭발

  • 토크노믹스 불투명성: 할당 구조 변경 의혹 제기
  • 초기 투자자 매도설: 온체인 추적에서 프라이빗 지갑 대량 매도 포착
  • 공급량 혼선: 예상 50억 개 → 실제 246억 개로 시장 혼란 가중

7. 온체인 데이터로 본 현실

  • 재단 지갑: 543억 WLFI 보유, 1주일간 45억 개 이동
  • 저스틴 선: 공개적 홀딩 선언과 달리 80% 매도
  • 바이낸스·바이비트: 순유출 약 2.3억 개 → 매도 압력 반영
  • 트럼프 일가 지갑: 224억 6천만 개(총 공급 22.5%) 보유, 이동 없음
  • 트럼프 패밀리 평가가치: 약 51억 달러

8. 시장 대응: 토큰 소각과 유동성 강화

  • 2025년 9월 2일: 4,700만 WLFI 소각(총 공급량의 0.047%)
  • 프로토콜 수익 100%를 바이백 & 소각에 활용하는 거버넌스 제안 제출
  • DWF Labs와 파트너십 체결, USD1 스테이블코인 리저브에 2억 5천만 달러 예치
  • Solana 기반 Bonk.fun과 협업, USD1 생태계 확장 추진

9. 현재 시장 현황 (2025년 9월 3일 기준)

지표 수치 해석
가격 $0.2296 상장 고점 대비 -30.6%
시가총액 56.6억 달러 글로벌 27위
24시간 거래량 14.7억 달러 시총 대비 26%
RSI 44.66 중립~약간 과매도
유통 물량 246억 개 FDV 약 229억 달러
소각량 4,700만 개 공급량 일부 감소 효과

10. WLFI가 남긴 교훈

셀럽 코인 패턴의 반복

  • 셀럽 마케팅으로 초기 관심 폭발 → 단기 급등
  • 초기 투자자 차익 실현 → 급락
  • 팬덤 vs 회의론자 간 갈등
  • 실사용성 확보 여부가 핵심 과제로 부상

정치 연계 코인의 리스크

  • 정치인 연루 시 규제 리스크 확대
  • 펀딩 구조 불투명성 우려
  • 거버넌스 독립성 약화 가능성

토크노믹스 투명성의 중요성

  • 복잡한 락업 구조는 시장 혼란을 키움
  • 유통량·언락 일정·초기 할당 비율 공개 필요성 재확인

11. 결론: 하이프와 현실의 교차점

WLFI는 정치, 셀럽, 크립토가 만난 초대형 실험입니다.
초기 투자자에게는 막대한 수익을 안겼지만, 퍼블릭 투자자에게는 FOMO 투자 리스크를 다시 일깨워준 사례이기도 하죠.

프로젝트의 미래는 다음에 달려 있습니다.

  • USD1 스테이블코인 실사용성 확보
  • WLFI 거버넌스의 실질적 역할 강화
  • 토크노믹스 투명성 회복

WLFI는 성공적인 디파이 프로토콜이 될 수도, 실패한 셀럽 코인의 리스트에 오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정치와 크립토가 얽힐 때 생기는 파급력을 보여준 대표 사례라는 점만은 분명합니다.


데이터 기준: 2025년 9월 3일 12:44 UTC
본 글은 Surf AI를 활용해서 작성했습니다. 투자 조언이 아니며, 정보 제공 목적의 콘텐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