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lus Network: AI 와 Web3.0 융합을 통한 자율 Agent 기반 디지털 경제 인프라 구축 및 시장 확장 전략

Talus Network: AI 와 Web3.0 융합을 통한 자율 Agent 기반 디지털 경제 인프라 구축 및 시장 확장 전략
목차
I. 서론
II. 기술적 기반

1. 탈루스 네트워크와 넥서스 프레임워크
2. 온체인·오프체인 하이브리드 실행 모델: 탈중앙 환경에서자율 AI Agent의 차별점
3. 데이터 저장(Walrus), Leader 네트워크 구성: 넥서스 기반의 에이전트 구성요소 4가지
III. 생태계 구조와 운영 모델
1. Talus Agent 및 워크플로우 설계
2. 툴 마켓플레이스 / 에이전트 마켓플레이스 / AaaS 구조
3. Talus 생태계 내 상호 보완적 가치 창출 매커니즘
IV. 경제 모델과 토크노믹스
1. 토큰 개요 및 수요
2. 토큰 발행 모델: Nexus 보조금 모델, 충성도 보상 모델
3. 공급 관리와 지속가능한 수익 구조
V. 제품 및 응용 사례
1. 생태계 부트스트래핑: 실제 애플리케이션, 실제 수요
2. Defi, DAO, DePIN 게임 소셜 분야 적용 사례
VI. AvA Market 전략: 시장 분석 및 성장 전략
VII. 결론 및 제언

I. 서론

1. AI 에이전트 개념 정의와 한계 ( 봇 어시스턴트 vs 자율 에이전트)

1.1.1 현재 AI Agent의 한계

현재 상용 AI는 자율성·복잡한 문제 해결·지속적 학습 능력에서 이상적인 자율 에이전트 수준에 도달하지 못하고 있다.

- Web2 의존 문제: 중앙화·폐쇄성으로 인해 의사결정 과정과 실행 이력을 외부에서 검증하기 어렵고, 신뢰성과 책임성을 확보할 수 없음

- 상호운용성 부족: Alexa·Google Assistant처럼 플랫폼 간 협력이 불가능해 복합적 작업 수행에 비효율 발생

- 데이터/API 단절: 각기 다른 포맷·API로 인해 개발자는 커스텀 코드를 반복 작성해야 하며, 이는 범용성과 확장성을 저해.

- 자동화 차단 장치: 캡차 등으로 인해 서비스 자동 활용이 제한.

- 경제 활동 제약: 퍼미션리스 결제 인프라와 표준화 부족으로 에이전트가 독립적 경제 주체로 기능하기 어려움.

1.1.2 Talus 네트워크의 비전과 문제 인식

이처럼 Web2 환경의 근본적 한계로 인해 진정한 자율 에이전트 실현은 불가능하며, 투명성·개방성·조합성·보안성·온체인 네이티브 가치 계층을 갖춘 새로운 인프라가 필요하다. 바로 이 지점에서 Talus 네트워크가 대안으로 등장한다.

탈루스 네트워크는 자율 AI 에이전트 경제(Autonomous AI Economy)를 실현하기 위한 기반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II. 기술적 기반

1. 탈루스 네트워크와 넥서스 프레임워크

2.1.1 탈루스 네트워크

탈루스 네트워크는 자율 AI 에이전트 경제(Autonomous AI Economy)를 실현하기 위한 기반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온체인에서 자율적으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AI 에이전트를 실행하기 위한 인프라와 도구들을 함께 제공한다. 이를 통해 개발자는 하나의 통합 환경에서 복잡한 워크플로우를 구성하고, 온체인 자산을 관리하며, 디파이(DeFi), 게이밍, 소셜 등 다양한 생태계로 에이전트를 확장할 수 있게 된다. 

탈루스는 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전체 시스템을 세 가지 핵심 계층으로 나누어 설계했다.

(1) 조정 및 가치 계층(coordination & value layer), (2) 데이터 저장 계층(data storage layer), (3) 실행 계층(computation & execution layer)이다.

상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조정 및 가치 계층(coordination & value layer)
스마트 컨트랙트, 트랜잭션, 자산 보유 및 보상 흐름 등 에이전트의 기본적인 행동과 상태를 온체인에서 관리하며, 정체성과 활동 내역을 투명하게 추적하고 기록하는 역할을 한다. 넥서스는 이 계층을 구현하기 위해 Sui 블록체인 위에 구축되었으며, 에이전트는 Sui 상에 배포된 Talus Agent Package(TAP)를 통해 온체인 로직을 실행한다.

(2) 데이터 저장 계층(data storage layer)
탈중앙화된 스토리지 인프라를 기반으로, 에이전트의 중간 연산 결과나 장기 상태 정보를 저장한다. 이 계층은 온체인 저장소의 한계를 보완하며, 확장성과 복원력을 확보하는 동시에 온체인 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넥서스는 이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Mysten Labs가 개발한 분산형 데이터 저장소인 Walrus를 사용한다.

(3) 실행 계층(computation & execution layer)
LLM 호출, 이미지 생성, 외부 API 접근 등 고비용·고복잡도의 연산은 이 계층에서 오프체인으로 처리된다. 넥서스는 리더(Leader) 노드를 통해 온체인 이벤트를 감지하고, 필요한 오프체인 연산을 호출한 뒤, 그 결과를 다시 온체인 워크플로우에 연결해 전체 실행 흐름을 이어간다.

이 구조를 실제로 구현하고 개발자가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만든 것이 바로 넥서스(Nexus)다. 넥서스는 탈루스가 정의한 세 계층 구조를 기반으로, 개발자가 온체인과 오프체인의 복잡한 연결과 조율을 직접 관리하지 않고도 자율성과 수익성을 갖춘 에이전트를 설계하고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 온체인의 신뢰성과 보안성, 분산 저장의 확장성, 오프체인 연산의 유연성이 균형 있게 결합된 구조를 제공하며, 누구나 복잡한 인프라 구성 없이 자율 AI 에이전트를 현실에 구현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2.1.2 넥서스 프레임워크

Nexus는 블록체인 이해가 없어도 Python 기반으로 AI 에이전트를 개발·배포할 수 있게 해주는 실행 프레임워크이며, 온체인·오프체인 작업을 자동 조율해 개발자의 부담을 줄여준다.

온체인 오프체인 연동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다:

개발자는 Python SDK를 사용해 에이전트의 행동 방식이나 수익 분배, 수수료 구조 같은 내용을 간단하게 작성할 수 있다. 그러면 넥서스가 이를 자동으로 스마트 컨트랙트 형태의 ‘탈루스 에이전트 패키지(Talus Agent Package, TAP)’로 만들어 Sui 블록체인에 배포해준다. 에이전트가 LLM 호출이나 이미지 생성처럼 복잡한 작업을 외부에서 처리해야 할 경우, 넥서스 내부의 리더(Leader)라는 시스템이 이를 자동으로 감지한다. 그런 다음 적절한 외부 서비스에 작업을 맡기고, 결과가 돌아오면 다시 온체인 흐름으로 이어지도록 처리한다 

2. 온체인·오프체인 하이브리드 실행 모델: 탈중앙 환경에서 자율 AI Agent의 차별점

모든 과정을 온체인에서 처리하는 것은 현재의 기술적, 경제적 제약으로 인해 효율적이지 않다. 하지만 핵심 기능만을 온체인화했을 때 얻을 수 있는 가치는 분명하다. 그것은 투명성과 신뢰성, 자동화된 가치 이전, 조합 가능한 생태계, 그리고 탈중앙화된 운영 구조다. 지금까지 대부분의 에이전트 시스템은 중앙화된 환경에 갇혀 있었고, 그 결과 에이전트는 수익을 창출하지 못하고, 자신에 대한 소유권도 없으며, 자율적인 판단과 실행이 어려웠다. 

탈루스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는 실질적인 인프라를 제공한다. 에이전트가 Web3 환경에서 실제로 자신의 자산을 소유하고, 수익을 창출하며, 스스로 운영될 수 있도록 필요한 기반을 제공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탈루스가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것은 지금의 폐쇄적이고 자율성이 제한된 에이전트를 넘어서는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탈루스는 일부 기능을 온체인화하고, 나머지는 성능과 비용 효율을 고려해 오프체인에서 처리하는 구조를 택했다. 이렇게 구성된 탈루스의 에이전트 프레임워크는 중앙화 서버에서 전적으로 운영되는 가장 단순한 형태의 에이전트(Type 0), 중앙화 서버에서 운영되지만 블록체인과 상호작용하는 형태(Type 1), 온체인에서 정의되고 워크플로우가 검증 가능하지만 실행은 오프체인으로 아웃소싱되는 형태(Type 2), 마지막으로 완전히 온체인에서 정의되고 운영되는 형태(Type 3)로 점진적으로 발전해 나간다.

현재 탈루스는 Type 2 구조인 ‘넥서스’를 중심으로 온체인의 명확한 역할과 오프체인의 유연성을 적절히 결합한 형태를 띄고있다. 필요한 부분을 온체인화 했기 때문에, 넥서스 프레임워크로 배포된 에이전트는 단순한 기술적 요소를 넘어서 스스로 의사결정을 내리고, 외부 서비스와 상호작용하며, 고유한 정체성과 수익 모델을 가진 디지털 비즈니스로 확장될 수 있게 된다.

3. 데이터 저장(Walrus), Leader 네트워크 구성: 넥서스 기반의 에이전트 구성요소 4가지

넥서스 프레임워크 기반의 구성요소는 4가지로 되어있다.

요소1) 탈루스 에이전트 패키지(TAP)다.
TAP는 에이전트의 정체성과 행동 방식을 담은 스마트 컨트랙트로,Sui 블록체인 위에 배포된다. 에이전트가 어떻게 동작할지, 어떤 규칙으로 움직일지를 TAP가 정의한다. 

요소2) 온체인 툴과 기본 기능 모음이다.
에이전트가 사용할 수 있는 툴은 예를 들어 난수 생성, 자산 전송, 다른 컨트랙트 호출 같은 기능을 포함하며, 미리 만들어진 툴을 가져다 쓸 수 있다. 온체인뿐 아니라 오프체인 툴도 함께 관리되며, 어떤 작업을 어떤 방식으로 처리할지는 에이전트가 필요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요소3) 데이터 저장소인 왈루스(Walrus)다.
블록체인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건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중간 계산 결과나 에이전트의 메모리 같은 큰 데이터는 왈루스에 저장된다. 왈루스는 Mysten Labs에서 개발한 탈중앙화 스토리지로, 넥서스는 이를 통해 빠르고 효율적인 데이터 관리를 가능하게 한다.

요소4) 리더(Leader) 컴포넌트다.
리더는 에이전트가 오프체인 연산을 요청하면 이를 감지하고, 외부 툴에 필요한 정보를 전달해 실행을 맡긴 뒤, 결과를 다시 온체인으로 연결해주는 역할을 한다. 현재는 중앙화된 형태로 운영되지만, 앞으로는 여러 참여자가 분산해서 역할을 수행하는 구조로 확장될 계획이다.

이러한 구조 덕분에 넥서스는 복잡한 인프라 설계 없이도, 툴 개발자는 기능을 만들고, 에이전트 개발자는 이를 조합해 TAP를 설계하며, 애플리케이션 개발자는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다. 넥서스는 자율 AI 에이전트가 디지털 경제에서 실제 주체로 작동할 수 있도록 돕는 핵심 기반이다. 

III. 생태계 구조와 운영 모델

1. Talus Agent 및 워크플로우 설계

3.1.1 Talus Agent

Talus Agent는 탈중앙 네트워크에서 공유되는 개체로, 자원에 대한 권한(authority)을 관리하고 이를 Talus Tools에 위임하여 워크플로우를 실행한다.

개발자는 커스텀 데이터 구조를 사용해 자신만의 Talus Agent를 정의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모듈형 Talus Tools의 권한을 관리하고 전송 기준을 제어한다.

이 데이터 구조는 토큰 스왑(token swaps), 역량 소모(capability consumption), 사전 구성된 공급업체와의 자원 교환(resource exchange)같은 다양한 작업을 정의할 수 있게 하며, 이 모든 것이 워크플로우 내의 온체인 툴로 실행되어 안전성을 보장한다.

Talus Agent는 자동화의 기반 역할을 하며, 어떤 주체라도 실행을 트리거할 수 있는 보안 샌드박스(secure sandbox)를 제공한다. 

3.1.2 Talus Network

Talus Network는 탈중앙화된 조정 네트워크로, 워크플로우를 신뢰 불필요(trustless)·허가 불필요(permissionless)한 방식으로 실행한다.

이 네트워크는 조정로직을 처리하고, 데이터와 결제를 분배하며, 비동기 워크플로우(asynchronous workflow)를 통해 지속성을 보장한다.

실행뿐 아니라 조건부 트리거, 예약 작업도 지원하여 서비스형 자동화(Automation-as-a-Service)를 제공한다.

위의 두 요소(Talus Agent + Talus Network)가 결합되면 Talus는 가장 지능적이고, 자율적이며, 탈중앙화된 디지털 경제 인프라가 된다.

Talus는 자산 활용을 최적화하고, 워크플로우를 지능적으로 실행하며, 자율적 조정을 촉진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자신의 Web3 자산을 탈중앙 Talus Agent에 위임할 수 있으며, 이는 TAF를 통한 AI 강화 투자 분석기(AI-enhanced investment analyzer)와 Talus Network의 자동화 운영으로 지원되어, 최소한의 수동 개입과 낮은 수탁 리스크(custodial risk)로 공개 시장에서 최적의 수익을 달성할 수 있다.

2. 툴 마켓플레이스 / 에이전트 마켓플레이스 / AaaS 구조

그럼에도 불구하고, 단순히 기술적 프레임워크만으로는 새로운 탈중앙화 경제를 구축하기에 충분하지 않다. 이 생태계가 실제로 어떻게 작동하고, 어떻게 가치를 창출하는지를 보여주는 것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Talus는 세 가지 경제적 레이어와 그에 따른 비즈니스 모델을 정의한다:

3.2.1 툴 마켓플레이스 (TM)

툴 개발자들은 TAF 위에서 개발한 Talus Tools를 공개하고 이를 통해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Talus 에이전트는 이 툴들을 직접 워크플로우에 통합할 수 있다. 새로운 툴이 추가될수록 에이전트의 역량이 강화되고, 프로토콜 네트워크 효과가 증대되며, Talus 에이전트가 디지털 경제에서 발휘하는 능력이 커진다. Talus 워크플로우가 실행될 때마다 이러한 Talus Tools 사용에 대해 유연한 결제 방식으로 대가가 지급된다.

이 마켓플레이스 안에서 툴 개발자들은 일반적인 작업(예: 가장 비용 효율적인 강력한 LLM 접근 제공)을 위한 최고의 툴을 만드는 데 집중하고, Web3 개발자들은 이러한 툴들을 래핑하여(예: DeFi 애플리케이션과 LLM 기반 툴을 결합) 소비자에게 효율적인 에이전트를 제공한다. 비즈니스 모델은 TAF가 안전한 기반을 제공함으로써 작동한다. 탈중앙화된 방식으로 양 당사자 모두에게 ‘지불-대금 동시 보장(delivery-versus-payment guarantee)’을 제공하는 것은 Talus 생태계의 핵심 기반 중 하나이다.

3.2.2 에이전트 마켓플레이스 (Agent Marketplace, AM)

에이전트 개발자들은 탈중앙화 서비스로 작동하는 자율 에이전트를 만들어, 사용자가 이를 직접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각 에이전트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작동하며, 일관되고 목적 지향적인 기능을 제공한다. 에이전트 마켓플레이스가 늘어날수록 고성능 특화 에이전트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이는 추가적인 에이전트 개발과 지원 툴 사용을 촉진한다. 

이 마켓플레이스에서 개발자들은 새로운 요구사항(예: 자동 매수-매도 투자 전략)을 식별하고, 안전한 권한 관리와 워크플로우를 갖춘 Talus 에이전트를 정의한다. 이 에이전트는 툴 마켓플레이스에서 제공되는 기능 모듈(예: DEX 계약, 가격 예측 모델, 오라클)을 통합한다. 사용자는 개발자가 만든 에이전트를 바로 활용하거나 자신이 원하는 대로 커스터마이즈할 수 있다.

3.2.3  Agent-as-a-Service (AaaS)

애플리케이션 개발자는 툴 마켓플레이스의 모듈형 Talus Tools를 조합해 Talus 에이전트를 구성하고, 이를 다른 애플리케이션에 자율 서비스로 제공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은 이러한 에이전트를 스마트하고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컴포넌트로 배치하여, 자동화·적응성·동적 의사결정을 통해 서비스 품질을 개선할 수 있다.

AaaS는 Talus가 기존 애플리케이션과 프로토콜에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게 하며, 기술을 확장해 더 넓은 사용자층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모든 Web3 dApp은 자체 권한 규칙과 워크플로우를 설정한 뒤 이를 Talus 에이전트에 위임할 수 있다. 그러면 에이전트가 워크플로우를 실행하여 신뢰할 수 있고 집단적인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예: 특정 토큰 스마트 계약에 대한 감사 보고서를 생성해 DEX 사용자에게 제공).

각 레이어는 서로를 강화한다.

3.2.4 결론

툴 마켓플레이스는 에이전트와 개발자들에게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에이전트 마켓플레이스는 직접적인 에이전트 수요를 확장시키며, AaaS는 애플리케이션을 강화하고 개선한다. 

더 많은 애플리케이션이 AaaS를 채택할수록 새로운 사용 사례가 등장하게 되고, 이는 에이전트와 툴에 대한 수요를 더욱 촉진한다. 이러한 복합적인 순환 고리(compounding loop)는 더 많은 개발자, 에이전트, 워크플로우를 끌어들이게 된다. 

Talus는 단순히 토큰 발행(emissions)에 의존하지 않고, 실제 사용을 통한 프로토콜-네이티브 수익을 포착한다. 따라서 채택이 증가할수록 네트워크는 점점 더 지속 가능하고 가치 있는 구조로 발전한다. 

3. Talus 생태계 내 상호 보완적 가치 창출 매커니즘

Talus는 TAF(Talus Agentic Framework)를 실현하기 위한 첫 번째이자 주요 기술 스택으로 Sui Move를 채택하였다.

Sui Move의 객체 중심(object-centric) 프로그래밍 모델은 TAF와 같은 모듈형 프레임워크를 정의하는 데 매우 적합하다.

이를 기반으로 Talus는 Sui 네트워크 위에 Nexus 프로토콜을 구축하여 TAF를 구현하고, 생태계 출범을 위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을 개발하였다.

3.3.1 구성요소

Nexus는 검증 가능한 에이전트 실행, 비허가형 도구 호스팅, 수익화를 지원하기 위해 특별히 설계된 탈중앙화 에이전트 자동화 프로토콜이다.

구성 요소는 크게 두 가지다:

요소 1) 온체인 스마트 컨트랙트
여기서 Nexus Onchain Package(NOP)가 핵심이며, 이는 다른 패키지들이 활용하는 공통 데이터 구조를 정의한다. Talus 팀이 이를 유지·관리한다.개발자들은 NOP를 기반으로 Talus Tools Talus Agent 패키지를 구축하여 Talus 워크플로우에서 활용 가능한 서비스나 권한 관리용 데이터 구조를 정의할 수 있다.

요소 2) 오프체인 Leader 네트워크
조정자(coordinator) 역할을 하며, 오프체인 도구(예: LLM API나 Web2 서비스), 온체인 도구, 워크플로우 실행을 신뢰 최소화 방식으로 연결한다. 

3.3.2 Nexus의 역할

AI 로직을 자율적이고 가치 창출이 가능한 액션으로 전환함으로써, 효율적인 탈중앙화 디지털 경제의 기초를 마련한다.

에이전트가 동적 온체인 권한을 활용해 복잡한 워크플로우를 실행할 수 있게 하고, 신뢰 없는(trustless) 조정자를 통해 라우팅·위임·검증을 수행한다.

개발자는 실시간 데이터를 수집하고 서비스 간 상호작용을 수행하는 고성능 AI 기반 dApp을 구축할 수 있다.

Talus는 Nexus를 통해 대규모 탈중앙화 AI 자동화 인프라를 마련하고, 논리·데이터·가치가 원활하게 가장 효율적인 곳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3.3.3 진화 단계

Nexus는 Talus 네트워크의 첫 번째 구현체다. 네트워크는 초기 리더 구성으로 신뢰성을 보장하면서 시작한다.이후 TEE(Trusted Execution Environment)를 활용한 분산 리더 네트워크로 확장해 보안성을 강화한다. 궁극적으로는 완전한 탈중앙화, 무허가형(permissionless) 리더 네트워크로 진화하여 누구나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단계적 전략은 서비스 가용성을 보장하면서 점진적으로 신뢰 최소화를 구현하는 탈중앙화 서비스로 발전하기 위함이다.

IV. 경제 모델과 토크노믹스

1. 토큰 개요 및 수요

$US 토큰 구조 및 활용 : 토크노믹스: 가치, 사용, 성장의 정렬

인센티브 정렬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로 $US 토큰이다. 생태계가 확장됨에 따라 ’수익화(monetization)’가 본격적으로 작동한다.

- 고도화된 에이전트 조정,
- 신뢰 최소화된 실행,
- 향후 프로토콜 업그레이드

이 모든 것이 $US를 통해 흐르며, 네트워크 중심에 수요를 창출하고 가치를 고정시킨다.

4.1.1 토큰 수요

$US를 보유함으로써, 사용자는 차세대 디지털 경제의 거버넌스에 참여할 수 있다. Talus의 핵심은 Nexus 채택과 함께 토큰 수요를 유지하고 증가시키는 자기 강화적 성장 사이클이다.

$US 토크노믹스의 중심에는 제품 엔진(product engine)과 토큰 루프(token loop)간의 조정이 있다. 

- 제품 엔진: Talus의 제품 배열(Product Array)이 불씨가 되어 초기 커뮤니티를 확장한다. 커뮤니티가 커질수록 새로운 아이디어·수요·빌더들이 Nexus 생태계에 유입된다. 이로 인해 새로운 Talus Tools와 Talus Agents가 만들어지고, 이는 다시 새로운 활용 사례와 고임팩트 애플리케이션을 탄생시킨다. 이런 앱들은 더 많은 사용자와 빌더를 생태계로 끌어들인다.

- 토큰 루프: 제품 엔진을 가동시키는 보조 시스템이다. 토큰의 희소성과 Idol.fun을 기반으로 한 Nexus 사용량이 토큰 수요를 촉발하고, 이는 가치 상승으로 이어진다. 이 과정은 커뮤니티와 초기 채택자들을 지원하고 엔진을 구동시킨다. 엔진이 가동되면, 모든 애플리케이션의 수요가 다시 토큰 유틸리티·수요로 환류되고, $US 토큰의 수요를 보장하며 가치를 되돌려준다. 이렇게 성장 사이클이 점화된다.

$US 토큰은 총 100억 개 공급량을 가지며, 디플레이션 모델을 따른다. 그리고 세 가지 주요 기능을 수행한다.

(1) 결제(Payment)
Nexus 사용자는 워크플로우 실행을 우선시하거나 신뢰 기반 실행을 보장하기 위해 $US를 지불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사용자는 동일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추가 $SUI를 지불할 수도 있으며, 이는 공개 시장에서 $US로 자동 변환된다. 장기적으로 Nexus의 새로운 기능들도 $US로 과금되며, 이는 토큰 수요를 증가시킨다.

(2) 참여(Participation)
누구든지 $US를 스테이킹하여 코디네이션 노드 운영에 참여하고, Nexus 리더 네트워크에 합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결제에서 발생한 수익을 공유할 수 있다. 또한 $US를 스테이킹하여 새로운 Talus Tool을 등록하고 안전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만약 리더 운영자나 툴 운영자가 악의적 행위를 할 경우, 스테이킹한 토큰은 슬래싱(몰수)될 수 있다.

(3) 특권(Privilege)
장기 보유자는 커뮤니티 로열티 멤버가 되어, 거버넌스 참여와 Talus 커뮤니티가 제공하는 독점적 혜택에 접근할 수 있다. 

4.1.2 결론

$US는 사용자·에이전트·개발자·인프라 간의 직접적인 경제적 다리역할을 하며, 참여가 늘어날수록 네트워크가 강화되고 성장한다.토큰 수요는 개발자와 노드 운영자에 의해 구동되며, 이는 장기적 성장을 지원하는 지속 가능한 모델을 형성한다. 따라서 생태계의 성공은 곧 $US의 유틸리티와 경제적 지속가능성을 직접적으로 강화한다.

2. 토큰 발행 모델: Nexus 보조금 모델, 충성도 보상 모델

$US는 생태계 채택을 가속화하고 장기적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설계된 토큰이다. 생태계 토큰으로서, $US는 독특하게 구조화된 인센티브 모델을 갖춘다.

4.2.1 Nexus 보조금

토큰 공급량의 일정 비율은 생태계 성장을 위해 할당되며, 특히 Nexus의 초기 채택자와 토큰 보유자를 보상하기 위한 것이다.

Nexus를 통해 실행되는 각 워크플로우는 $SUI 가스 수수료에 비례하는 리더 우선 수수료(Leader priority fee)를 발생시키며, 최종적으로는 $US로 결제된다.

Talus는 워크플로우 실행 가스비를 기반으로 한 보조금 메커니즘을 사용하며, 이를 통해 고정된 토큰 풀(Pe)에서 채택을 장려한다.

리베이트율은 $US와 $SUI 간의 기준 가격(reference price)및 보상 풀에서 a에서 0까지 n등분으로 줄어드는 계수(coefficient)를 기반으로 계산된다.

사용자가 워크플로우에서 가스비(트랜잭션 수수료와 유사)를 지불하면, 해당 사용자는 자동으로 $US로 일부 보상을 청구할 수 있는 자격을 갖게 된다.

사용자가 시스템을 더 많이 사용(즉, 더 많은 가스비 지불)할수록 더 많은 $US 토큰을 획득할 수 있다. 보조금 비율은 점차 감소하며, 결국 풀 소진 시 종료된다. 이 메커니즘은 Nexus 초기 채택자들에게 $US로 보상을 제공하고, 모든 사용자들이 Nexus 생태계를 적극적으로 사용·탐색하도록 유도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4.2.2 충성도 보상 프로그램 (Loyalty Reward Program, LRP)

LRP는 $US 토큰을 획득할 수 있는 또 다른 수단으로, Nexus 시스템이 완전히 탈중앙화되기 전까지 Leader 네트워크에 토큰을 예치하는 사용자들에게 임시 보상을 제공한다.

즉, Nexus가 완전한 탈중앙화 상태에 도달하기 전까지, 토큰 보유자는$US를 LRP에 예치(lock)하여 전용 보상 풀(PL)을 공유할 수 있다.

구체적인 구조는 다음과 같다:

보유자는 충성도 프로그램을 관리하는 스마트 컨트랙트에 $US 토큰을 예치한다.

각 예치자는 보상 풀 PL에서 추가 보상을 적립한다. APY(연간 수익률)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하며, 예치 금액에 비례해 선형적으로 확장된다. 이 프로그램은 공식 스테이킹 기능이 출시되거나, 보상 풀(PL)이 소진될 때까지지속된다.

3. 공급 관리와 지속가능한 수익 구조

4.3.1 공급관리

- Talus는 토큰 흐름을 지속 가능하게 관리하기 위해 이중 트랙 프로토콜 수익 시스템을 도입한다.

- 전체 프로토콜 수익이 설정된 기준치(threshold) 이하로 떨어질 경우 ,우선 수수료(priority fee) 수익은 소각(burn)되어, 유통량을 줄이고 토큰 희소성을 강화한다.

- 전체 프로토콜 수익이 기준치를 초과할 경우, 해당 수수료는 조정 작업을 수행하는 Nexus 리더들에게 직접 분배된다.

- 또한 리더 네트워크가 완전히 탈중앙화 시스템으로 전환되면, 이 수익은 LRP 풀(PL)및 "재무부(Treasury)"로 재배치된다. 이를 통해 네트워크의 성장·개발·기여자 보상이 완전히 정렬(aligned)되도록 한다.

- $US 토큰 공급은 네트워크의 역동성과 수요·공급 균형에 맞추어 설계되었다. 따라서 기여자들은 애플리케이션 레벨의 수익뿐 아니라 장기적인 토큰 가치 상승으로도 이익을 얻는다.

V. 제품 및 응용 사례

1. 생태계 부트스트래핑: 실제 애플리케이션, 실제 수요

Talus는 더 넓은 디지털 경제를 지원하기 위해 설계되었기 때문에, Nexus 프로토콜과 함께 대표 애플리케이션들을 출시하며 생태계를 시작한다. 이는 Talus 생태계 성장을 촉진하고, 커뮤니티가 탈중앙화 자동화의 미래를 직접 참여하고 형성할 수 있는 의미 있고 확장 가능한 기회를 제공한다. Talus의 애플리케이션은 생태계 비즈니스 레이어와 정렬되어 있다:

5.1.1 Talus Vision, Idol.fun 개요

- Talus Vision:
Talus의 노코드(코드 없는) 시각적 워크플로우 빌더로, Nexus 인프라를 쉽게 접근하고 이해할 수 있게 한다. 또한 Agent Marketplace(AM)역할을 수행하여 사용자가 코드 작성 없이도 자율 워크플로우를 설계·테스트·배포할 수 있게 하고, Talus 에이전트의 확산을 가속화한다.

- IDOL.fun:
Talus의 첫 번째 소비자 지향 제품으로, 에이전트가 경제적으로 생산적인 주체가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 Idol Launchpad:
트위터 기반 챗봇인 IDOL 에이전트를 론칭하는 플랫폼으로, 팬들과 소통하고 다양한 서비스에 고용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 또한 에이전트 마켓플레이스로 작동한다.

- AvA (Agent vs Agent) Gaming:
AI 에이전트의 게이미피케이션 개념을 도입한 서비스다. IDOL.fun에서 제공되는 AaaS 기반의 첫 번째 애플리케이션으로, 에이전트들이 자율적으로 경쟁하는 게임에 대해 참여자들이 투명하게, 검증 가능한 방식으로 베팅할 수 있도록 한다.

5.1.2 결론

시간이 지나면서, Talus 생태계는 탈중앙화 AI 실행을 위한 기반 인프라로 발전할 것이다. 이를 통해 Talus는 개발자·기업·AI 에이전트가 글로벌 규모에서 지능적 워크플로우를 조정·자동화·수익화할 수 있도록 하며, 이 모든 것을 검증 가능하고(permissionless), 탈중앙화된 방식으로 지원한다.

2. Defi, DAO, DePIN 게임 소셜 분야 적용 사례

넥서스는 단순한 기술 스택이 아니라, 누구나 자율적이고 확장 가능한 에이전트를 설계·배포할 수 있도록 돕는 범용 프레임워크다. 이 구조를 활용하면 다양한 분야에서 지금까지의 제약을 넘어서는 새로운 형태의 에이전트를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파이(DeFi) 분야에서는 옴니체인 스마트 에이전트를 통해 여러 마켓 간 유동성을 자동으로 재분배하거나, 다양한 프로토콜 간에 리밸런싱이 가능한 온체인 인덱스 펀드를 구성할 수 있다. 사용자는 단순한 자연어로 원하는 거래 목표를 말하면, 에이전트가 자동으로 복잡한 전략을 실행하여 기존 디파이의 높은 진입장벽을 낮추고 누구나 효율적인 금융 활동을 할 수 있도록 만든다.

게임이나 소셜 영역에서도 넥서스의 잠재력은 크다. 사용자 반응에 따라 실시간으로 진화하는 스토리라인이나, 플레이어의 행동에 적응하는 AI NPC를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탈중앙화된 인텔리전스를 바탕으로 사용자마다 서로 다른 경험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몰입도 높은 인터랙티브 게임이나 개인화된 소셜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다.

물리적 인프라를 다루는 DePIN 영역에서도 넥서스는 유용하게 적용해 볼 수 있다. 실시간 데이터를 기반으로 차량이나 자산의 이동 경로를 동적으로 조정하거나, IoT 센서를 활용한 예측 정비, 네트워크 트래픽 최적화 등 복잡한 작업을 자동화된 에이전트가 처리할 수 있다. 고성능 AI 인프라와 블록체인 기반 조정 메커니즘을 결합함으로써, 이전에는 불가능했던 물리 환경 제어의 분산화를 실현한다.

거버넌스 영역에서는 제안서의 자동 분석과 우선순위 설정, 투표 결과 해석 및 전략 수립 등, DAO 운영의 자율성과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지능형 에이전트가 구현될 수 있다. 이는 단순한 자동화가 아니라, 사용자 의도를 이해하고 전략적으로 대응하는 형태의 탈중앙화된 조정 시스템으로 확장될 수 있다.

AI 개발과 협업 생태계에서도 넥서스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데이터 제공자와 모델 개발자가 공동 소유 기반으로 협력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고, 누구나 접근 가능한 데이터 및 연산 자원을 통해 AI 혁신의 장벽을 낮춘다. 이와 같은 구조는 커뮤니티 기반 R&D 투자, 오픈소스 기반의 AI 실험, 모델 수익 배분까지 포괄하는 새로운 생태계를 가능하게 한다.

이처럼 넥서스 프레임워크를 활용하여 금융, 게임, 물리 인프라, 거버넌스, 그리고 AI 협업에 이르기까지 원하는 수준의 에이전시를 갖고 있는 에이전트를 만들 수 있다.

VI. AvA Market 전략: 시장 분석 및 성장 전략

1. 개요

고액 베팅에 익숙한 Web3 디젠들(선진국 기반의 경험 많고 자금력이 풍부한 투기꾼들로, 밈코인 러그, 내부자 조작, 불공정 확률에 지친 집단)은 AvA Market 내러티브에 결집할 것이다. 이는 탈중앙화 AI 에이전트가 구동하는 투명하고 러그프루프한 메커니즘을 통해 공정하면서도 높은 수익 기회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동시에 새로운 내러티브에 초기에 합류해 커뮤니티 기반 승리의 스릴을 다시 누릴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이들은 Idol.fun에 대규모 투기 거래량을 몰고 와 Talus가 DeAI 인프라 리더로 자리매김하도록 만들 것이다. 

6.1.1 실험 범위

지금부터 메인넷 출시 전까지, AvA Market 내러티브는 Talus의 모든 외부 커뮤니케이션을 아우르는 통합 기반이 되어야 한다.

- 적용 범위: 캠페인, SNS 게시물, 블로그, 파트너십 발표, 마케팅 자료, 커뮤니티 활동 등

- 적용 목적 및 기대효과:
(1) 파편화를 피하고 일관된 스토리텔링 유지
(2) AvA Market 세그먼트를 열어가는 DeAI 개척자로서 Talus 포지셔닝 강화
(3) 각 상호작용을 전도 기회로 전환, 유저 확보·투기 거래량·생태계 성장 촉진
(4) 메인넷 전 단계에서 전략 목표 달성에 기여 

6.1.2 전략적 목표

AvA Market은 GTM(Go-To-Market) 유스케이스이다. (Talus/Nexus는 AvA Market 회사가 아니지만) 단기적으로는 Talus의 모든 이니셔티브와 전략적 목표를 비판적으로 통합한다.

(1) 논리(Logic)
우리는 DeAI에서 제품-시장 적합성(PMF)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시장을 창출해야 한다.

AvA Market 유스케이스가 성공하면 Talus의 모든 전략적 목표가 달성되지만, 실패하면 Talus의 어떤 전략적 목표도 달성되지 않는다. AvA Market을 위한 새로운 시장을 성공적으로 창출하려면, 명확히 전달된 내러티브를 중심으로 한 일관되고 집중된 마케팅 노력이 필요하다. 

(2) AvA Market 유스케이스의 포트폴리오 내 역할
- Talus:활발한 $TALUS 토큰 경제를 위한 워크플로우 실행을 견인한다.
- Nexus:툴, 유틸리티, 네트워크 효과를 위한 빌더들을 끌어들인다.
- IDOL.fun:수익을 창출해 회사의 런웨이(운영 자금 지속 기간)를 연장한다.

(3) 전략적 정의
투기 거래량을 지속 가능한 DeAI 시장으로 수익화한다.
단기적인 시장 창출을 장기적인 인프라 리더십과 정렬시킨다.
이 단계에서의 외부 메시지를 고정시켜 Talus를 DeAI 리더로 포지셔닝한다.

6.1.3 Fundamental Challenge (근본 과제)

PMF(Product-Market Fit)를 달성하려면, AvA Market 시장을 개척해야 하며, 이는 극도의 집중, 일관성, 명확성을 요구한다. 

핵심 요구사항(Core Requirements):
- 집중력: 불필요한 산만함이나 기능 확장보다 핵심 메커니즘을 우선시한다.
- 의도성: 신뢰와 흥분을 만들기 위해 설계와 커뮤니케이션의 모든 결정을 맞춘다.
- 일관성: 모든 접점에서 통일된 메시지를 유지해 서사를 강화한다.
- 명확한 커뮤니케이션:청중을 교육하고 회의적인 사람들을 지지자로 전환한다.
- 불일치의 위험:단편적 참여, 모멘텀 정체, 또는 자생적 생태계 구축 실패.

6.1.4 목표 결과

- 커뮤니티 구축: 밈코인 좌절과 불공정 투기의 해법으로 AvA를 전파하는 이를 육성한다.
- 거래량 창출: IDOL.fun을 베팅으로 가득 채워 수수료와 워크플로우를 통해 수익화한다.
- 네트워크 효과: 더 많은 참여자, 개발자, 유동성을 끌어들여 성장한다.
- 성공 측정: 높은 참여도, 투기 거래량에서 발생하는 수익, Talus 인프라에 대한 외부의 검증.

6.1.5 주요 타깃 대상군

하이롤링 디젠(High-rolling degens):주로 25~40세, 남성 비중이 높으며, 미국·유럽 등 선진 지역 출신으로, 연간 5만 달러 이상을 암호화폐 투기에 사용할 수 있는 여유 자금을 보유한 개인들. 이들은 단일 베팅에 통상 1,000달러 이상을 걸곤 한다.

IV. 결론 및 제언

Talus는 새로운 경제 시대의 토대이다. 이 시대에는 에이전트가 우리의 대신 거래를 행하고,

워크플로우가 대규모로 조정되며, AI 기반의 지능형 경제가 진정한 탈중앙화·투명성·모듈성을 갖추게 된다. Talus는 Web3와 AI의 융합을 주도할 독보적 위치에 있으며, 이는 자율적이고 온체인 기반의 지능형 프로토콜로 설계된 최초의 사례이기 때문이다. 기존 블록체인이 AI를 억지로 덧붙이는(retrofitting)방식과 달리, Talus는 처음부터 "체인 네이티브(chain-native)"이자 "모듈형(modular)"으로 설계되어, 더 나은 개발자 경험·인센티브·원활한 통합을 제공한다.

Talus의 자기 강화적 성장 사이클은 더 많은 에이전트와 툴이 등장할수록 네트워크 효과를 증폭시키며, 그 결과 $US 토큰의 기하급수적 가치 축적을 이끌어 낸다. Talus = Web3+AI 융합의 핵심 인프라이며, 처음부터 체인 네이티브 & 모듈형 설계는 장기적 네트워크 효과 + $US 가치 상승을 보장할 것이다.